능력을 보여주자. 말로 하지 말고...
예전 프로그래머가 컴공과의 전유물이었다면, 요새는 전공과 무관하게 다양한 사람들이 개발자로 뛰어들고 있다. 시대가 개발자를 많이 필요로 하고 있고, 대학 이외에 학원이나 온라인 강좌 등으로 개발자로 성장할 수 있는 길이 많은 영향으로 보인다.
그 과정에서 몇 년 전만 해도 학원 출신, 비전공자 출신들은 기본이 없다거나 이해력이 딸린다거나 하면서 무시하던 시선도 없진 않았지만, 이젠 전공자 출신만큼 잘 하는, 오히려 더 잘하는 개발자들을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다. 워낙 트렌드가 빨리 변하는데다 대부분의 기술이나 코드는 구글링 몇 번으로 쉽게 찾을 수 있기 때문에, 개발 공부 초반의 몇 가지 벽만 넘는다면 나머지는 자기 하기 나름에 따라 얼마든지 성장할 기회가 생겼다.
특히 해외취업이라면, 자기 나라의 명문대를 나왔다고 한들 딴 나라 면접관 입장에선 그 대학이 명문대인지 그냥저냥한 대학인지 알 수가 없으니, 단순히 학사/석사라는 것 이상의 어필을 주지 못할 가능성이 높다.
이런 판에서 나를 차별화하려면 어떻게 해줘야 되나?
내가 어느 회사에 지원을 한다고 생각하면...
- 최근 트렌드는 자기 경력을 이력서 한두장에 정리하라고 한다.
- 근데 나를 어필하려면 최대한 많은 정보를 줘야 한다.
- 이력서가 통과되어 면접을 가더라도 면접관들은 대체로 바쁜 사람들이라 준비한 질문들 하기 바쁘다.
- 면접가서 '내가 이걸 알고, 이 기술에 관심있고...' 라고 말해봐야 그냥 '그런 거 어딘가에서 들어봤네' 밖에 안 된다.
그럼 '내가 이렇게 잘났고 이런저런 걸 안다'라는 걸 제대로 보여주기 위해서라도, 인터넷에 다양한 흔적을 남길 필요가 있다.
리누스 토발즈 선생의 다음 명언처럼...
조금만 둘러봐도 나를 어필할 방법이 이렇게 많다(그것도 대부분 공짜로!).
- 기술블로그
- GH page, 워드프레스, 미디엄, 네이버 블로그...플랫폼은 그다지 중요하지 않다. 내용이 심각하게 깊거나 전문적일 필요(물론 그렇다면 좋지만...)도 없다.
- 내가 공부하거나 경험한 것들을 글로 쓰고, 내가 이것을 안다는 것을 확실하게 알리자.
- GitHub 잔디 심기
- 내 프로젝트로 잔디를 심는 것도 좋지만, 가능하다면 남의 프로젝트에 기여해 보는 것을 추천한다. 나의 협업 능력, 문제를 적극적으로 찾아 수정하는 모습을 어필하기 좋다.
- 효용성을 떠나, 내가 개발자로서 적극적이고 성실하다는 인상을 줄 수 있다.
- 코딩 대회 출전 경험, 알고리즘 코딩 플랫폼(LeetCode, HackerRank...) 의 기록
- 기타 SNS에서 개발과 관련된 다양한 흔적들...
- 개인 프로젝트
- 어플리케이션 개발자라면 자체 개발 후 스토어에 올린 앱
- 웹 개발자라면 AWS/GCP 프리 티어를 활용해서 호스팅
이렇게 만든 뒤, 이력서에 장황한 설명 대신에 링크 몇 개만 걸어준다면 훨씬 많은 걸 얘기해 줄 수 있다.
경력이 오래 되었으니, 좀 알려진 기업에서 일했으니 '알아서 데려가겠지' 하는 생각은 하지 말자. 안 데려간다...
(물론 G모사, M모사 등은 얘기가 다르지만...그런 회사에 있는 사람들이 애초에 이 글을 보기나 하려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