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수익' 기능 - 사용 후기 및 변화
이전에 티스토리의 새로운 기능인 '수익'기능에 애드센스를 등록했었는데,
티스토리 신규 업데이트 - '수익' 기능 연결 후기
얼마 전부터 관리자 화면 위에 공지되고 있던 '수익' 기능이 드디어 업데이트 되었다. [오픈 예고] 카카오계정과 수익 메뉴 안녕하세요 티스토리팀입니다. 사전 안내로 말씀드렸던 카카오계정
kaffeit.tistory.com
열흘간의 후기를 짤막하게 남겨볼까 해서...
이 글은 2020.11.08일 기준임.
일단 첫번째로 좋았던 부분은 확실히 접근성이 편해졌다는 것이다.
위 포스트에 있는 것처럼, 애드센스에 들어가서 흐름을 한 눈에 볼 수 있고, 광고 노출을 조절할 수 있는 게 생각하는 것보다 유용했다. 가끔 테마를 바꾸고 나면 광고 위치가 좀 어색한 경우가 있었는데, 이런 경우 대략적으로 나마 레이아웃을 조절해서 바로바로 잡아 줄 수 있었다.
두 번째로, 이걸 시작한 뒤로 그 동안 계속 잠잠했던 수익이 발생했다는 것~
이 기능을 붙인 것이 27일인데, 이걸 연결한 뒤로 간헐적으로나마 수익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물론 그래봐야 미미한 수준이지만, 몇 달간 0의 행진을 계속하다가 이 수치가 올라갔다는 것 만으로도 신기했다.
이건 좀 신기했던 게, 분명히 이전에도 애드센스의 자동광고 기능을 사용했었고, 이번에도 똑같이 자동광고 기능을 켰을 뿐인데, 그 동안 없던 수익이 생겼다는 것. 뭔가 내가 놓친 게 있었던지, 아니면 여기에서 쓰는 자동광고가 좀 더 사용자 성향을 잘 반영하는 건지...
만약 광고 위치나 표시 내용 등을 섬세하게 생각할 여유가 없다면, 이게 오히려 더 나을 수 있겠다.
반대로, 사용하면서 찾은 버그(까지는 아니고, 어쩔 수 없는 듯한 것도 포함)도 있으니...
첫 번째는, 나 같은 경우 블로그를 두 개 관리(하나는 티스토리지만, 하나는 GitHub Page)하고 둘 다 같은 애드센스 계정으로 등록되어 있는데, 수익/노출수에 양쪽 블로그의 값을 합한 지표가 나온다.
뭐 계정을 연동하고 API로 데이터 수치를 가져오는 것일 테니, 이것까진 어쩔 수 없으려나...
두 번째 문제는
내가 애드센스에 등록해 놓은 건 일본 엔화(¥)인데
티스토리 수익에는 달러($)로 나온다. 근데 숫자가 같아...
(잠깐 좋다 말았다 ㅠㅠ 순간 수익이 100배...)
아마도 한국 서비스라, 한국 원화와 달러만 생각해서
if 원화
return KRW
else
return USD
아마도 요런 코드가 들어 있을 듯...? 흐음...
최근 흐름을 보건데 당장 고쳐줄 거 같진 않으니...알아만 놓고 일단 그냥 써야지.